▲ 페이스북 목포사람들 그룹에 게시된 목포시정 홍보 문제를 지적하는 글
|
목포시(시장 김종식)가 올해부터 공보과에 SNS팀을 신설하고 SNS를 활용한 시정 홍보를 강화하고 있지만, 이와 맞물려 문제점도 드러나고 있어 개선책이 시급하다.
특히 SNS를 통한 시정 홍보가 득(得)보다 오히려 실(失)이 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시정 홍보의 장이 반대를 위한 반대를 표명하는 “정치적 분탕질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최근 목포시가 SNS 중 나이에 관계없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페이스북에 목포시청이란 계정 외에 Sns Mokpo라는 계정을 만들고 시정에 대한 전반적인 홍보를 하면서 이와 같은 내용을 특정 그룹에 공유하는 형태로 목포시정을 홍보하고 있다.
하지만, 이 특정 그룹에 목포시 관계자나 현 시장을 옹호하는 사람들의 시정 홍보 글에 써진 댓글이 감정적 싸움으로 비치는 모습이다. 그러한 이유는 목포시정에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는 사람들의 댓글 보다 오히려 시정을 비판하기 위해 반대하는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댓글을 달면서 정치적 분란을 일으키는 분위기다.
이에 앞서 지난 1월 에도 목포시가 수돗물 탁수와 소각장 건설과 관련 무수한 말들이 오가자 목포시가 SNS를 통해 목포시 행정을 알리면서 이를 두고, 시민들의 반응이 찬·반으로 갈리면서 SNS 홍보가 오히려 시민의 화합을 이루는 것이 아닌 시민 갈등을 보이게 하는 장으로 비쳐졌다.
사정이 이런데도 목포시는 SNS를 통한 시정 홍보에 대한 개선과 대책을 강구하지 않은 채 현재까지 5개월이 지났지만, 똑 같은 모습으로 SNS 홍보를 이어가면서 홍보의 긍정적인 효과보다는 오히려 시민들 간 갈등의 골이 깊게 보이게 하는 장을 마련한 꼴이다.
실제로 페이스북 그룹 중 비공개그룹으로 멤버만 2만 4000명에 이르는 목포 최대 그룹으로 꼽히는 ‘목포사람들!!’에는 지난 14일 서 모 씨가 목포시와 목포시 행정을 홍보하는 사람들에 대한 글을 올렸고, 이 글에는 댓글이 144개나 달리면서 시정에 대한 찬·반을 논하는 장이 되었다.
글쓴이는 글에서 ‘목포시와 목포시 행정을 이곳에 홍보하시는 분들께’란 제목으로 “시 행정과 관련하여 시민들께 알리고 싶은 내용이 있으면 시청 부서와 담당자를 명기하고 공적으로 알립시다”고 적었다.
그는 이어 “시청 공무원도 아닌 분들이 정확하지도 않은 내용을 전문가도 아니면서 마구잡이로 올리고 정치적 분탕질을 하는 의도로 글을 올려 상대방을 비아냥거리고 이런 모습 보고 있기 피곤합니다”고 지적했다.
이 글에 대한 댓글에서는 실제로 우려 했던 글들이 이어졌다. 글에 대한 반대의 의견으로는 “시청 직원들은 입 다물고 있는데 목포는 어찌 클까요”라는 글이 있는가 하면 어떤 이는 “공감합니다. 여기는 목포사람들 소통하는 곳입니다. 정치 이야기로 싸우는 곳이 아니라구요...”라며 글에 대한 찬성의 뜻을 내비쳤다.
이처럼 찬성과 반대를 표시하는 글들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댓글이 달리면서 SNS가 시정을 홍보하는 긍정적인 장이 아닌 시정을 두고 시민들이 격하게 대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글쓴이가 우려하는 ‘정치적 분탕질’이란 말을 실감하는 쪽으로 비친다.
그러나 이보다 더 큰 문제는 SNS를 통해 시정을 홍보하는 공무원들의 의도와 관계없이 홍보 내용에 따라서 법률적 위반 논란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다. 특히 특정부서 공무원이 시청의 공식적이 채널이 아닌 일반인들이 글을 쓰는 SNS에 지속해서 자신의 이름으로 시정을 올리는 것이 자칫 선거법 위반 시비에 휘말릴 수 있고, 그럴 경우 그에 대한 책임은 글을 올린 공무원에게 부과된다는 문제가 지적된다.
목포 미래를 생각하는 시민의 모임 장복남 대표는 “공무원들이 올린 글에 시정을 가장한 시장 홍보성 글로 보이는 것이 보이고 있다”며 “이런 글은 시정 홍보를 넘어 일부 선거법 위반 논란이 될 수 있다. 공문원이 공약을 홍보하는 것은 현 시장의 다음 선거 당선을 목적으로 홍보하는 것으로 오해를 사고 또한 실제 그런 일이 생기면 그 책임은 다른 사람이 아닌 글을 올린 공무원 스스로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최근 목포시가 삼학도에 컨벤션 센터를 포함한 호텔 건립을 발표하자, SNS에서는 정치권을 넘어 시민들 간에도 이에 대한 찬·반 논란이 이어지면서 심한 대립의 골을 보이고 있다.